호남문화DB

호남문화DB

039 이난영 민족의 열정을 혼으로 뿜어낸, 노래의 여왕 이난영 목록

문화원형 개요
이난영은 1916년 목포시 양동에서 이남순(李南順)의 장녀로 태어났다. 목포공립보통학교(현 목포북교초등학교)를 4학년까지 다니다가 집안이 어려워서 중도에 자퇴했다. 어머니와 함께 제주도에서 생활할 때 극장을 경영하는 주인집의 아이를 돌보면서 흥얼거리는 노래 소리를 높이 평가하게 된 집주인이 그녀를 소위 막간가수(영화나 연극이 시작 전에 나와 노래하는 가수)로 채용하여 활동하게 하였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삼천리 가극단장의 권유로 특별단원으로 채용된 것이 1932년 열여섯 살 되던 해였다. 이후 우연히 OK레코드 이철 사장의 눈에 띄어 작곡가 손목인에게 소개되었으며, 목포 출신 문일석 작사의 <목포의 눈물>을 부르게 됨으로써 마침내 ‘노래의 여왕 이난영’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목포의 눈물’이 음반으로 출시되자, 나라 잃은 슬픔에 잠겨 있던 민중들 사이에 크게 유행하면서 민족의 심금을 울렸다. 이후로부터 지금까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목포의 눈물>은 가히 우리 민족의 열정과 혼을 담고 있고, 또한 서민들의 희노애락이 스며들어 있는 영원한 민중의 노래라 할 수 있겠다.
기획의도
민족의 격동기를 겪으며 우리 민족의 삶을 대변하는 노래를 불렀던 이난영의 삶과 그의 노래를 통해 치열한 당대의 삶의 모습을 창작 소재화함으로써 우리 민족이 지닌 열정과 애환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고자 함
개발내용
  • 시나리오
    • 목포 부두 노동자의 애환을 그린 마당극 시나리오
    • 생계를 위해 목포로 흘러들어온 부두 노동자들의 삶을 기존 사료들에게 채 취하여 <목포의 눈물> 등 목포를 노래한 노래와 함께 이용하여 구슬프지만 재미난 이야기로 구성. 마당극을 구성할 때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영상자료나 사진자료를 이용하여 의상 및 소품, 말투 등을 되살려내 사실적으로 그리도록 함
    • 일본인 지주와 소작인들의 갈등을 그린 연극 시나리오
    • 이난영이 <목포의 눈물>를 불러 최고의 가수가 되기까지 생을 그린 영화 시나리오
  • 3D 디지털 세트
    • 일제강점기 목포 개항장 모습의 생생한 복원
    •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개항장이었던 목포 항구의 분주한 모습을 3D로 구성 : 쌀을 실어 나르는 모습, 일본인들이 배를 타고 건너오는 모습, 부두 노동자들이 분주히 짐을 나르는 모습 등을 보여줌으로써 당시 사회상을 소재로 한 문화산업 분야에 다양한 콘텐츠 리소스 제공
  • 동영상(avi)
    • 이난영 유적지
    • 목포 이난영 생가터 및 이난영이 극장에서 막간 가수로 생활하던 옛 극장터 등 이난영 생애를 밟아 나가면서 이난영과 <목포의 눈물>에 중점에 둔 동영상 제작
    • <목포의 눈물>과 그 속에 담긴 목포의 모습
    • <목포의 눈물> 가사를 따라가면서 목포의 옛 모습을 찾고 현재 목포의 모습과 비교하여 얼마나 달라졌나를 비교해 나감으로써 근대도시 목포의 성장과정을 조명
활용방안
  • 이난영의 삶과 노래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알기 쉽고 정확한 문헌 DB를 구축함으로써 역사의 대중화 및 교육 효과 제고
  • 이난영의 캐릭터 제작을 통한 목포의 이미지 제고 및 다양한 호남 이미지 창출
  • 이난영의 삶을 창작 소재화 한 시나리오 제작을 통한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개발 기회 제공
  • 이난영 유적지의 공간 마케팅과 도시 리모델링을 통해 관광산업 분야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