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문화DB

호남문화DB

006 무등산 언제나 그리운 5월의 어머니, 무등산 목록

문화원형 개요
무등산은 광주와 담양군·화순군과 경계에 있는 산으로 무악(武岳)·무진악(武珍岳)·서석산(瑞石山)·입석산(立石山)이라고도 한다.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해발 1,186m의 잔구(殘丘)로서 나주평야를 내려다보는 산중에는 명승고적이 많다. 무등산 수박과 춘설차가 특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고, 무등산 일원에서는 김덕령(金德齡) 장군을 비롯해 수많은 선열·지사(志士)·문인·예술가들이 배출되었다. 무등산의 주요 사찰로 증심사(證心寺)를 꼽는다. 증심사는 통일신라시대 철감국사(哲鑑國師) 도윤(道允)이 창건한 절로서, 이곳에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 보물 제131호), 오층석탑, 오백나한전(五百羅漢殿) 등이 있다. 또한 증심사의 말사인 약사암에는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보물 제600호)이 있다. 주요 사적으로는 광주충효동도요지(光州忠孝洞陶窯址 사적 제141호)가 있는데 이곳은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 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상감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963년에 실시한 무등산 금곡리 가마터(현 북구 충효동) 발굴 조사는 국내 최초의 가마터 발굴 사례이다.
기획의도
무등산은 남도인의 삶과 애환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산임. 무등산의 생성 및 봉우리와 골짜기 마다 품고 있는 설화, 전설, 민속 등을 창작 소재화함. 특히 무등산의 흙, 나무, 물을 이용해 빚은 충효동 도자기를 광주의 문화 특성화 브랜드로 성장시키는 콘텐츠 제작에 중점을 둠
개발내용
  • 디지털 문화지도 ‘무등산’
    • 무등산의 생성, 사적, 사찰, 신화, 특산물을 디지털 맵핑
  • 창작 시나리오
    • 금다리 전설 : 임진왜란 시 김덕령 장군의 활약상을 테마로 함
    • 무등 : 무등산과 관련된 불교문화를 스토리텔링
  • 충효동 도요지 디지털 복원
    • 분청사기 문양 DB 구축 및 응용상품(팬시, 섬유, 건축내외장재) 디자인
    • 분청사기 재현 및 디지털 복원(VR, PVR)
    • 도요지 생활사 3D 복원(PVR)
활용방안
  • GIS 시스템을 탑재한 관광문화 지도 제작
  • 충효동 분청사기 문양의 디자인 산업 응용 분야
  • 아시아문화전당 문화자원센터 구축 소요 원천 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