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문화DB
016 홍어 알싸한 남도의 맛, 홍어 목록




- 문화원형 개요
- 홍어는 홍어목 가오리과의 바닷물고기이다. 『본초강목』에는 태양어(邰陽魚)라 하였고, 모양이 연잎을 닮았다 하여 하어(荷魚), 생식이 괴이하다 하여 해음어(海淫魚)라고도 하였다. 『자산어보』에는 분어(번魚)라 하였고 속명을 홍어(洪魚)라 하여 형태와 생태 및 음식으로서 나주 지방의 홍어에 대한 기호(嗜好)를 소개하고 있다. 『식감』에는 소양어라 하였다. 전북에서는 간재미, 경북에서는 가부리·나무가부리, 전남에서는 홍해·홍에·고동무치, 함경남도에서는 물개미, 신미도에서는 간쟁이라 불린다. 몸길이는 약 150cm이다. 몸은 마름모꼴로 폭이 넓으며, 머리는 작고 주둥이는 짧으나 튀어나와 있다. 눈은 튀어나와 있으며, 눈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5개가량의 작은 가시가 나 있다. 등 쪽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군데군데 황색의 둥근 점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고, 배 쪽은 희다. 꼬리의 등 쪽 가운데에는 수컷은 1줄, 암컷은 3줄의 날카로운 가시가 줄지어 있다. 수컷은 배지느러미 뒤쪽에 대롱 모양의 생식기 2개가 몸 밖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가시가 나 있다.
- 기획의도
- 홍어는 우리나라에서 특히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종이며, 관광과 축제의 대상이 됨. 톡 쏘는 맛이 나도록 삭혀서 막걸리를 곁들여 먹는 홍탁(洪濁)은 이미 전국적 인지도를 가지고 있음. 식문화와 관광에 주안하여 홍어 관련 음식과 홍어 운송 길을 창작 소재화함
- 개발내용
- 디지털 홍어 음식 문화 지도
- 탕, 전, 국, 튀김 등 홍어요리 시연과정 탑재
- 지방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홍어 섭생 문화 소개(흑산도 : 생식, 목포 : 반발효, 영산포 : 완전발효)
- 홍어 발효법 및 발효 도구 이미지 자료 수록
- 홍어길 디지털 복원
- 흑산도에서 영산강 하구언을 거처 영산포까지 이르는 길을 3D로 복원하여 관광문화 콘텐츠로 활용(영산강 개발 콘텐츠와 연동 개발)
- 홍어 캐릭터(신규 제작)가 가이드와 내레이션을 담당. 흑산도 예리항을 출발해 열목동굴→홍어마을→범마을→칠성동굴→돌고래바위→스님바위→촛대바위→남근석→거북이바위→목포앞바다→영산강하구→영산포에 이르는 과정마다 관련 이야기와 시각자료
- 홍어 관련 텍스트 e-book 제작
- 『자산어보』 e-book : 암컷은 먹이 때문에 죽고, 수컷은 간음 때문에 죽어 음(淫)을 탐내는 자의 본보기라는 누명을 쓴 홍어의 항변으로 시작하는 이야기체
- 가부장적 사회질서를 거부하고 생명이 넘치는 신세계를 찾아 떠난다는 주제의 김주영의 소설 <홍어>를 e-book으로 제작(기 제작된 만화 <홍어> 및 사진자료 탑재 포함)
- 디지털 홍어 음식 문화 지도
- 활용방안
- 디지털 기반 대한민국 음식문화 지도 제작용 소스 제공
- 영산포 홍어축제와 연동 프로그램 개발
- 흑산도, 나주 등 전라남도 지역 마케팅 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