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기타

<선언> 그리고 투쟁의 기억 : 1978년 <우리의 교육지표>선언, 22인의 회고

작성 : 관리자 / 2023-09-07 21:00 (수정일: 2023-09-09 19:32)
<선언> 그리고 투쟁의 기억 : 1978년 <우리의 교육지표>선언, 22인의 회고 썸네일

<선언> 그리고 투쟁의 기억 : 1978년 <우리의 교육지표>선언, 22인의 회고

저자명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단; <우리의 교육지표>선언기념사업추진위원회 편

출판사 엔터

발행일 2008. 06. 27

목차

연구진은 이 책의 구성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부분은 1978년 6월 27일 비민주적인 교육정책과 유신체제를 비판하면서 학원의 민주화와 민주교육 실현을 위해 <우리의 교육지표>를 작성한 백낙청 교수님과 선언문 발표에 동참하신 전남대학교 열 분 교수님들의 경험에 관한 내용이다. 여기에서는 당시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이 발표되기까지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열 분의 경험과 이 사건에 대한 개인적 평가 및 역사적 의의를 담는 데에 충실했다. 다만, 이미 타계하신 이방기 교수님과 명노근 교수님에 관한 부분은 생존 시 구술했던 자료들을 편집하였고, 배영남 교수님에 관한 부분은 10분 교수님들과 학생들의 구술 내용을 연구진이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또한 대학을 서울로 옮겨가신 김두진 교수님은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구술이 어려워 이 책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지만, 교수님과의 연락 과정에서 다른 10분의 교수님들과 큰 틀에서 인식과 경험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음을 알려둔다.
두 번 째 부분에서는 <우리의 교육지표>선언 이후 11분의 교수님이 연행, 강제해직 됨에 따라 이에 격분해 학생들이 6월 28일부터 7월 3일까지 대규모 시위를 펼쳐 제적, 구속되는데, 이 학생들 중 11명의 경험을 구술로 채록ㆍ정리 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대규모 학생시위가 발발하게 된 경위와 과정을 담아내기 위해서 11명의 경험을 일시, 시간, 장소별로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장을 구성하였다. 또한 ‘교육지표 사건’ 이후의 활동에도 초점을 맞추어 서술함으로써 이 사건이 향후 민주화 운동의 시금석이 되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11명의 학생들 중 먼저 타계한 노준현님에 관한 부분은 기존의 구술 자료를 기반으로 재구성하였고, 박석삼ㆍ이영송님은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구술이 어려워 본인이 작성해 보내주신 글을 전달받아 책의 구성에 맞게 편집하였다.

발간사
목차
서문
일러두기

1. ​1978년 6월 27일 서명 교수 11인, <선언>의 기억
교육은 '인간'을 만드는 것이지 김정수 - 17
민주화의 횃불 당기게 한 불씨 김현곤-23
대학 자율성 · 정의 · 민주화 향한 첫 걸음 명노근-31
스승의 도리가 '용기' 주었지 배영남 - 39
교육은 교수의 '인격'을 통해 살아있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송기숙 -45
암흑시대에 촛불을 켜는 마음으로 안진오 - 75
숨막히는 상황, 발언이 필요했어 이방기 - 83
교육의 본질은 비판의식 양성 이석연 89
지식인의 지적 고백 : 인간이 어떻게 정의없이 살아 갈 수 있겠는가? 이홍길 - 99
역사 속의 교육지표사건: 30주년에 즈음하여 돌아보는 글 홍승기 - 121
타대학 실패했어도 전남대는 결행 백낙청 - 139

2. 1978년 6월 27일~<선언> 이후, 투쟁의 기억
연쇄폭발처럼 이어진 <선언> 지지 투쟁  김상윤 - 151
민주투쟁의 싹을 틔운 귀한 씨앗 윤한봉 - 161
교수님들 용기가 민주화 맥으로 이어져 김경천 - 171
민중과 정의는 항상 함께 한다 이영송 - 179
전남대 토양이 길러낸 저항의식 정용화 - 195
<선언> 지지시위 당찬 투쟁으로 발전 노준현 - 203
학생운동 장작불에 기름 끼얹었죠 김선출 - 211
5·18민주화운동의 사상적 자양분 제공 신일섭 - 221
80년대 연대투쟁의 길 열었죠 문승훈-227
이후 투쟁 가능케한 귀한 경험이었죠 박석삼 - 241
조선대 학생운동 촉발의 계기로 작용 박형중 - 251
부록
자료로 본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 - 260
교육지표 사건 일지 - 288
민주교육지표 · 노둣돌 연락처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