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고규정
일반원칙
- 『호남문화연구』는 1년에 두 번 간행하며, 간행일은 6월 30일, 12월 31일자로 정한다. 이 간행 일정에 맞춰 원고 모집 마감일을 5월 15일, 11월 15일로 정한다.
- 『호남문화연구』에 게재하는 논문은 ‘호남문화’와 관련된 주제에 부합하는 경우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문화’ 일반에 관한 주제와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운영 규정>에서 제시된 사업에 관련된 주제라면 편집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게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학문 분야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 논문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국내외 연구자 누구나 투고할 수 있다.
- 논문 게재를 희망하는 이는 『호남문화연구』의 원고 작성 요령에 맞추어 작성한 논문을 전자우편(honamstudy@hanmail.net)을 통해 호남학연구원에 제출해야 한다.
- 투고하는 논문은 ‘국문제목ㆍ저자명ㆍ목차ㆍ국문초록ㆍ국문주제어ㆍ본문ㆍ참고문헌ㆍ영문초록ㆍ영문주제어’의 체재를 갖춘다(단, 주제어는 네 단어 이상 제시).
- 원고 분량은 200자 원고지 100매 내외로 하되, 150매를 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부득이하게 상한선을 넘긴 경우는 편집위원회에서 게재 여부를 판단하는데, 게재될 경우 초과 게재료가 부과될 수 있다.
- 논문을 투고할 때에는 소정의 심사료를 내야 하며, 게재가 확정된 경우 정해진 게재료를 내야 한다. 심사료는 3만원이며, 게재료는 일반 논문의 경우 10만원, 각종 연구비 수혜 논문의 경우 20만원이다.
- 『호남문화연구』에 게재된 원고의 지적 소유권은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에서 갖는다.
각주 표기 방식
- 모든 주는 각주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인용서적이 편저일 경우, 반드시 편자의 이름 끝에 ‘편’(또는 ed.)을 기입한다.
- 한국어 및 동양어로 된 논문은 ? ? 안에, 단행본은 『 』 안에 제목을 넣는다.
- 서양어로 된 논문은 “ ” 안에 제목을 쓰며, 단행본은 서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동일 저자의 논문이나 책이 둘 이상 인용될 경우 먼저 인용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약칭을 미리 표기한다.
(예) 『중국내의 고구려유적』 (이하는 『고구려유적』)
- 일반 단행본의 경우, 저자(또는 편집자)의 이름?(출판연도)? 『서명』?출판지: 출판사?권수?면수의 순으로 밝힌다. 단 국내에서 출판된 서적의 경우, 출판지를 생략할 수 있다.
- 번역본의 경우, 원저자 이름과 서명을 밝힌 뒤 역자의 이름, 번역서명, 서지사항을 밝힌다.
(예) James T. C. Liu(1959), Reform in Sung China: Wang An-shih(1021-1086) and His New Policies, Cambridge, MA: Harvard East Asian Studies; 이범학 역(1991), 『왕안석과 개혁정책』, 지식산업사, p.51.
- 정기 간행물의 경우, 필자의 이름?(발간연도)??논문제목??『잡지명』?통권(혹은 권,호)?면수의 순으로 밝힌다.
인용방식
- 모든 인용문(한문 포함)은 논리전개상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본문 속에서 지문과 줄을 바꾸지 않고 잇달아 이어지는 인용문은 겹따옴표(“ ”)로 묶는다. 주 속의 인용문도 겹따옴표로 묶는다.
- 겹따옴표로 묶인 인용문 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 ’)로 묶는다.
- 문장을 이루지 않는 단어나 구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로 묶는다.
- 본문 속에서 지문과 구분되는 긴 인용문은, 지문과 앞뒤로 각각 한 줄씩 띄우고, 왼쪽의 여백을 본문보다 한 칸 들여쓰기를 한다.
- 모든 종류의 인용문은 그 출처를 밝히고 쪽수까지 제시해야 한다. 재인용의 경우 원전과 인용서를 최대한 친절하게 밝혀야 한다.
인용방식
- 참고문헌은 한국어, 동양어, 서양어 순으로 하며, 한국어와 동양어는 저자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기재하고, 서양어 문헌은 ABC 순으로 기재한다.
- 논문의 경우 수록된 논문집의 게재 면수를 반드시 밝힌다.
(예) 박준규(1987), ?韓國의 樓亭攷?, 『호남문화연구』 17,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pp.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