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문화DB

호남문화DB

014 담양 대나무 군자의 품위와 절개를 간직한, 담양 대나무 목록

문화원형 개요
대나무는 벼과(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에 속하는 상록성 목본인 키 큰 풀의 총칭이다. 대나무의 한자는 죽(竹)인데 한국으로 전래될 때 중국 남방음 덱(Tek)의 ‘ㄱ’ 음이 약하게 되어 ‘대’로 변천했고 일본에서는 두 음절로 ‘다케’로 되었다. 식물학 문헌에 75속 1,000여 종이 넘게 기재되어 있지만 같은 종에 여러 이름이 쓰인 경우가 많다. 아열대 및 열대에서 온대지방에까지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아시아 남동부, 인도양과 태평양 제도 계절풍 지대에 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사군자와 십장생의 하나로 대나무를 귀하게 여겨왔다. 『삼국사기』에 신라 학자 최치원이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와 송죽을 심으며 책을 읽었다는 기록이 나오며, 고려시대에 쓰인 『동국이상국집』에 대나무에 대한 표현이 많이 나오고 있는 점으로 보아 신라시대 이전부터 집안의 뜰 등에 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획의도
조선시대부터 시작하여 5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죽세품의 스펙트럼을 디지털 콘텐츠화. 죽세공예, 대나무 관련 이야기, 대나무 악기, 대나무 관련 인물에 중점을 두어 개발. 주로 합성 소재를 생활용품으로 사용하는 현대인을 위해 죽세품의 제작과정 및 완제품을 시청각 자료로 개발하는 데도 중점을 둠
개발내용
  • 애니메이션, 만화, e-book 콘텐츠 제작용 대나무 스토리 뱅크 구축
    • 이곡의 가전체 소설인 <죽부인전>, 『삼국유사』의 미추왕과 죽엽군, 만파식적, 소쇄원의 양산보, 죽림칠현, 죽장망혜, 오우가, 대타령을 주제로 시나리오 제작
  • 대나무 소재 공예품 디지털 아카이빙(제조방법 및 완성품 2D, VR, PVR 제작 포함)
    • 대나무 공예품의 시대별, 지역별, 제작품목별 디지털 아카이빙. 제작과정 및 완성품의 이미지를 다양한 양식으로 표현

      대분류

      소분류

      품복

      공예

      전통죽세공예품

      바늘상자, 화로, 산죽옷고리, 대문, 몰코

      근대죽세공예품

      고기구덕, 삼태기, 담뱃대, 참빗, 승모, 소쿠리, 죽제기

      현대죽세공예품

      죽염, 숯, 포장재, 산죽차, 죽비

  • 대나무 악기 제조방법 및 원음 디지털 콘텐츠 제작
    • 죽부, 대금, 중금, 소금, 퉁소, 당적, 단소, 적, 피리, 소(簫)
    • Sample rate 44.1Khz, 128배 Over Sample wave 파일
  • 대나무 관련 무형문화재 사이버 전수관(제작과정의 3D 시뮬레이션 포함)

    분 류

    명 칭

    설 명

    중요 무형문화재
    제 31호

    낙죽장

    대나무 표피에 불에 달군 인두로 그림을 그리는 공예분야를 낙죽이라 함. 십장생도(十長生圖)를 비롯하여 산수(山水), 국화(菊花), 송학(松鶴), 매화(梅花), 도, 탑, 난초, 사슴, 대하(大蝦), 운문, 수복(壽福), 거북 문양 등이 소재임

    중요 무형문화재
    제 53호

    채상장

    얇고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채색하여 짜 만든 상자를 채상이라 함. 혼수를 담거나 여인의 반지그릇, 그리고 봉물(封物)을 담아 보내는 데 사용함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 23호

    죽렴장

    가늘게 쪼갠 대나무를 실로 엮어서 만든 가리개를 발이라 함. 고려시대의 경질(經帙)에 경문을 감아서 사용했으며 조선시대 나이 어린 경원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대비가 수렴청정 시 사용했다는 죽렴(竹簾)이 역사에 기록되어 있음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 15호

    참빗장

    빗살이 가늘고 촘촘한 빗을 참빗(眞梳)이라 함
    담양 참빗은 대소, 어중소, 밀소, 써울치, 음양소, 호소로 나뉨

활용방안
  • 담양 지역 브랜드 마케팅 소재로 활용
  • 대나무 악기의 음원을 벨소리, BGM 등의 음악산업 분야에 적용
  • 죽세품의 제작 과정을 담은 이-러닝 교육콘텐츠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