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문화DB
024 진남관 절의정신의 보루, 여수 진남관 목록








- 문화원형 개요
- 남관 건물이 있는 자리는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이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의 본영으로 사용하던 곳인데 당시에는 진해루라는 누각이었다. 진해루가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자 1599년(선조 32) 삼도수군통제사 겸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이시언(李時言)이 전라좌수영 건물로 75칸의 거대한 객사를 지어 진남관이라 이름 짓고 수군의 중심기지로 사용하였다. 1716년(숙종 42) 불에 타버린 것을 1718년 전라좌수사 이제면(李濟冕)이 다시 건립하였다. 한편 1910년부터 50여 년 동안 여수공립보통학교와 여수중학교, 야간상업중학원 등의 교실로도 사용되었다. 정면 15칸, 측면 5칸, 건평 240평(약 780m2)의 단층 팔작지붕으로 된 거대하고 웅장한 건물로서, 현존하는 지방 관아 건물로는 제일 크다.
- 기획의도
- 진남관을 둘러싼 전라좌수영, 임진왜란, 이순신, 호남 의병, 호남 군관이 상징하는 호남의 절의정신을 호남문화벨트로 구축하여 호남인들의 다양한 구국정신과 풍모를 감동적이고 흥미롭게 창작 소재화하고, 국내외 문화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풍부한 디지털 콘텐츠로 개발하고자 함
- 개발내용
- 사이버 3D 영상
- 진남관을 창건 당시의 모습으로 디지털 복원
- 조선시대의 수군의 복식, 무기를 디지털로 복원하여 당대의 수군제도를 재현하고 수군의 활동 상황을 흥미롭게 제공
- 교육용 만화(2D ― 온라인 만화)
- 임진왜란 때 국난을 극복하려는 호남인이 자진해서 참가해 해상의병이 되어 일본군과 싸우는 애니메이션 : 임진왜란이 발생했다고 가정을 했을 때, 본인이 당시 조선인이 되어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도록 실질적인 스토리 제작이 필요하고, 더불어 임진왜란에 대한 여러 가지 전쟁 상황을 실감나게 적용시켜서 교육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함
- 그래픽 2D(캐릭터)
- 해상 의병을 만화로 만들 때 필요한 캐릭터 : 통제사, 만호, 수군 등 다양한 해군의 구성원들이 있는바, 이에 따라 복식에서부터 무기류 등을 다양하게 갖춘 캐릭터 제작
- 3D 진남관, 수군제도, 전법, 복식, 무기, 선박을 설명해줄 캐릭터(수군, 해상의병) : 3D의 경우 입체감 표현이 뛰어나기 때문에 보다 사료에 입각한 작업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로써 진남관의 가상 체험, 해상 전법의 이해, 복식이나 무기, 선박에 대한 실질적 이해가 가능토록 함
- 사이버 3D 영상
- 활용방안
- 아산 성웅이순신축제, 여수 거북선축제, 한산대첩기념제, 당항포대첩제, 옥포대전기념축제 등의 기존 축제가 이순신과 임진왜란 관련 전술 위주였던 점을 감안하여, 어렵게 승리의 기반을 마련해준 해상 의병을 통해 국난 극복의 주체를 새롭게 발굴하여 신개념 지역축제의 역사문화 리소스로 활용
- 영화나 방송극 시나리오 구성의 창작 모티브 제공
- 임진왜란 시기 전술과 수군에 필요한 호남 해상의 지형과 공간, 수군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복식, 무기 등의 정보 제공
- 실제 소재 구성시 진남관을 중심으로 일어난 다양한 형태의 사건, 인물, 배경 등의 시나리오 소재 제공
- 임진왜란 당시 호남 의병의 정신에 대한 종합적인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용·전시용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음